본문 바로가기

취재와 생각

네이키드 걸스, 깊은 밤 실시간 검색어 1위

반응형

 

이키드 걸스 관련 기사들을 보면 대부분 부정적인 반응 일색입니다. 하지만 역시 밤이 된 실시간 검색어 1위 자리는 네이키드 걸스가 차지하고 마네요.

 


네이키드 걸스도 어차피 욕을 먹는 것 정도는 감수하고 나왔을 테니까, 결국 네이키드 걸스는 초대박을 친거겠죠? 

밤시간이면 으레 케이블에서 방영하는 19금 영화의 제목이 실시간 검색어에 이름을 올리는 것과 같은 맥락일테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아래 사이트로 접속해 비회원 성인인증을 통해 호기심을 충족시켰을지 안봐도 비디옵니다.

 
그 중에는 엄마, 아빠, 형, 또는 떠돌아 다니는 주민번호를 이용해 접속한 청소년도 있을테죠.
이미 대다수의 언론에서 네이키드 걸스를 홍보해줬기 때문에 네이키드 걸스를 모르는 청소년은 거의 없을 겁니다. 네이키드 걸스를 보지 않는 건, 어쩌면 성인보다 훨씬 성적 호기심이 충만한 시절의 사춘기 청소년에게 더 가혹한 요구일 겁니다.

내일 학교에서는 "네이키드 걸스 봤냐?", "죽이던데?", "완전 야해!", "여자끼리 키스 해"등의 대화가 오고 갈테고, 아직까지 네이키드 걸스를 못본 친구들은 친구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P2P를 돌아다니며 해적판을 구해보려고 노력하지 않을까요?

10대 청소년 시절을 겪지 않은 분들은 아무도 없을 겁니다. 저 역시 10대 때에는 포르노에 대해 엄청 궁금해 했고 결국에는 현재 유명 프로야구 선수인 이모군의 도움을 받아 일본산 포르노를 손에 넣었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엔 지금처럼 야한 동영상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떨어졌음에도 포르노를 한 번도 보지 않고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은 소수에 불과했을 정도로 포르노는 당시 청소년 문화의 일부였습니다. 급기야 VHR이 애들 다 망친다며 메니아급 아이들의 부모님들은 VHR 수납장에 자물쇠를 설치하기도 했었죠.

지금 생각해보면 그때 그런 경험이 내 인생에 미친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네이키드 걸스 같은 19금 뮤직비디오를 청소년들에게 노출시켜도 된다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예전에는 정보 접근성이 떨어졌기 때문에 고작해야 한 두편의 포르노를 보는 것이 다였지만 요즘은 마음만 먹으면 하루에도 십수편의 음란물을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건전한 성도덕을 저해할 수 있는 음란물을 더욱 철저하게 차단해야 합니다. 

VHR에 자물쇠를 설치하는 정도의 노력으로는 절대 청소년들의 건전한 성도덕을 지킬 수 없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얼마나 음란물의 범람 속에 살고 있는가 하는 것은 인터넷 신문의 광고만 보더라도 알 수 있기 때문인데요.


정말 1980년대 같으면 위와 같은 사진을 가지고 있다간 학생부에 끌려가서 머리에 고속도로 뚫고 엉덩이에 피멍 들게 맞았을테지만, 요즘은 초등학생도 보는 인터넷 신문에 거리낌 없이 노출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민망한 광고가 버젓이 노출되고 있는 이유는 위와 같은 광고를 노출시키는 행위가 음란물 전시를 방조하는 행위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도박사이트로 이동하는 하이퍼 링크를 설치하면 처벌 받는 것과 달리 성인 사이트로 이동하는 하이퍼 링크를 설치하는 것은 무죄인 이유를 쉽게 납득할 수 없는데, 어찌됐건 처벌을 하지 않기 때문에 돈이 되는 성인광고는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렇듯 청소년들은 우리가 살던 시대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음란물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지난 대구 초등생 성폭행 사건의 가해자가 15세 '남성'으로 밝혀지면서 우리 사회를 경악하게 했는데, 우리 사회가 괴물을 만들어 놓고 괴물의 탄생에 대해 경악을 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고 생각합니다.

네이키드 걸스와 같은 성인물을 반대하는 것은 아닙니다. 해당 영상이 심의를 통과하고 현행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면 도덕적인 비판은 할 수 있지만 그 이상이 액션은 취할 수 없습니다. 다만 청소년들이 열람 할 수 없도록 안전한 자물쇠를 준비해뒀는지에 대한 검토는 반드시 요구되어야 할 것입니다. 만약 안전한 자물쇠가 없다면, 청소년들의 정보 접근성이 과거에 비해 현격히 높아진 점을 고려해 음란물에 대한 심의기준을 오히려 더욱 강화해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