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재와 생각

도가니 보육원, 이런 일 터지면 보육원 아이들은...

반응형
 
보육원 보육교사(생활지도원)가 아동을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구속되었다고 한다. 도가니처럼 조직적으로 행해졌거나, 은폐축소된 범죄가 아님에도 도가니 보육원이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된 것 같다. 이런 사건이 터지면 낮은 임금에도 불구하고 사명감을 가지고 열심히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들까지 따가운 시선까지 받게 된다. 또 전국의 보육시설은 감사 받느라 업무가 마비될 지경에 이른다.

더 큰 문제는?

▲ 영화 도가니에서도 남자 교사에게 남자 아동이 성추행 당한 이야기가 나온다. 사진 출처 : 영화 도가니 스틸컷


시설 아동들도 곤혹스럽긴 마찬가지다. 학교에 가면 "너는 성추행 안 당했냐?"고 놀리기 일수이고, 심지어 남학생에게 "남자 교사랑 했지? 게이새끼"라는 모욕적인 공격을 당하기도 한다. 아이들은 <성관계를 했냐는 등의 민망한 내용이 담긴 설문조사>에도 강제적으로 응해야 한다. 

보육원에서 자란 보육원 출신 어른들도 곤란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런 사건이 터질 때마다 "너도 보육원에 있을 때 그랬냐?"는 질문을 받을까봐 보육원 출신이란 사실을 숨기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지자체가 아닌 보육원 아동에게 선택권을 준다면?

보육원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다른 성범죄 사건처럼 비공개로 수사를 하고, 처벌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란 생각이 든다. 언론의 힘은 사건의 축소 은폐 시도가 있을 때에 빌려도 늦지 않기 때문이다.

한 가지 더 주문을 하자면, 아동을 상대로한 성범죄는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후처벌 보다는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따라서 예방법을 찾기 위해 더 많은 고민을 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성범죄가 비인가 시설이나 시골의 외진 곳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아이들에게 자신이 생활할 보육시설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보육시설 성범죄 예방에 도움이 될 것 같다. 동시에 1주일 정도 생활을 해보고 자신이 생활할 시설을 결정하는 시스템도 고려해볼만 하다. 

실제로 부모들이 자식을 버릴 때(?) 아이들을 잘 키우기로 유명한 보육원에 미리 전화를 해서 "어떻게 하면 그곳 보육원에 아이를 맡길 수 있나요?"라고 묻기도 한다. 하지만 현행 시스템에서는 아동이 버려진 행정구역 내의 보육시설로만 갈 수 있다. 원정 유기를 하라고 말해줄 수는 없기에, 그런 건 부모가 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라고 얘기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그러나 정말 아이들을 잘 키우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는 우수한 보육시설이 있다면 그러한 보육시설에 더 많은 투자와 지원을 해주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예방책이 아닐까? 보육원이 전국 방방곡곡에 있을 필요는 없으니까.

내용이 유익했다면 손가락을 눌러주세요^^
반응형